맨위로가기

도큐 덴엔토시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도큐 덴엔토시선은 시부야역과 주오린칸역을 잇는 철도 노선으로, 1907년 다마가와 전기철도에 의해 개통되었다. 이후 여러 차례 노선 연장과 명칭 변경을 거쳐 현재의 모습을 갖추었다. 현재는 급행, 준급, 각역정차 열차가 운행되며, 도쿄 메트로 한조몬선과 도부 철도 이세사키선, 닛코선과 직결 운행을 한다. 덴엔토시선은 다마 지역의 주요 교통망 역할을 하며, 오이마치선과 일부 열차가 직통 운행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도큐 전철의 철도 노선 - 도큐 도요코선
    도큐 도요코선은 도쿄 시부야역에서 요코하마역을 잇는 도쿄 급행 전철 노선으로, 다른 노선과의 직결 운행을 통해 수도권 서부 교통망의 역할을 하며 다양한 등급의 열차가 운행되고 전 역에 스크린도어가 설치, 원맨 운전으로 전환되었다.
  • 도큐 전철의 철도 노선 - 도큐 이케가미선
    도큐 이케가미선은 도쿄도 시나가와구 고탄다역과 오타구 가마타역을 잇는 10.9km 길이의 도쿄 급행 전철 노선으로, 1922년 가마타역과 이케가미역 구간이 이케가미 전기 철도에 의해 개통되어 현재는 3량 편성의 열차가 전 구간 복선 및 전철화 구간을 운행하며 각 역에 정차한다.
  • 가나가와현의 철도 - 도카이도 신칸센
    도카이도 신칸센은 도쿄역과 신오사카역을 연결하는 일본의 고속철도 노선으로, 1964년 도쿄 올림픽에 맞춰 개통되었으며, 현재 JR 도카이가 운영하고 최고 시속 285km로 운행하며 지속적인 기술 발전과 노선 개량을 통해 운행 시간을 단축해왔다.
  • 가나가와현의 철도 - 도카이도 본선
    도카이도 본선은 도쿄역과 고베역을 잇는 713.6km의 협궤 철도 노선으로, 1872년 일부 개통 후 1889년 전 구간 개통하여 일본의 주요 간선으로 성장했으며, 현재는 JR 동일본, JR 도카이, JR 서일본에 의해 지역 수송의 중추적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 도쿄도의 철도 - 도카이도 신칸센
    도카이도 신칸센은 도쿄역과 신오사카역을 연결하는 일본의 고속철도 노선으로, 1964년 도쿄 올림픽에 맞춰 개통되었으며, 현재 JR 도카이가 운영하고 최고 시속 285km로 운행하며 지속적인 기술 발전과 노선 개량을 통해 운행 시간을 단축해왔다.
  • 도쿄도의 철도 - 도카이도 본선
    도카이도 본선은 도쿄역과 고베역을 잇는 713.6km의 협궤 철도 노선으로, 1872년 일부 개통 후 1889년 전 구간 개통하여 일본의 주요 간선으로 성장했으며, 현재는 JR 동일본, JR 도카이, JR 서일본에 의해 지역 수송의 중추적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도큐 덴엔토시선 - [철도 노선]에 관한 문서
지도
기본 정보
노선 이름덴엔토시 선
다른 이름전원도시선
로마자 표기Den'entoshi-sen
원어 이름田園都市線
원어 이름 언어ja
노선색'#20a288'
로고DT
로고 크기50
2018년 5월, 도큐 2020계 전동차
노선 종류통근 철도
지역간토 지방
시작역시부야역
종착역주오린칸역
역 수27
일일 승객수1,274,503명 (2017년)
개통일1963년 10월 11일
소유자도큐 전철
차량기지나가쓰타
노선 길이31.5 km
궤간1067 mm
전철화 방식직류 1500V 가공 전차선 방식
지도 색상녹색(#20a288)
노선 정보
노선 기호DT
노선 색상녹색
개업1927년 7월 15일 (덴엔토시 선으로는 1963년 10월 11일)
차량 기지나가쓰다 검차구
사기누마 검차구 (도쿄 메트로 차량)
미나미쿠리하시 차량 관구 (도부 차량)
사용 차량사용 차량 항목 참고
복선 구간후타코타마가와 - 미조노쿠치 구간은 복복선, 그 외 구간은 복선
전철화직류 1500V 가공 전차선 방식
폐색 방식차내 신호 폐색식
보안 장치ATC-P
최고 속도110 km/h
정차역 및 시설
도큐 전철 노선도

2. 역사

도카이도 본선이 지나가던 도로 아래에 덴엔토시선이 건설되었다


시부야역을 기점으로 도쿄 부도심에서 교외 주택 지역을 거쳐 주오린칸역까지 이르는 통근·통학 노선으로, 도요코선과 함께 도큐 전철의 간선 노선이다. 한조몬선을 경유하여 도부 이세사키선(도부 스카이트리 라인)·닛코선과 상호 직통 운전을 하고 있으며, 특히 한조몬선과는 거의 일체적으로 운행되고 있다. 또한, 후타코타마가와역·미조노구치역에서 오이마치선으로의 직통 열차도 운행하고 있다.

노선 명칭은 도큐가 에베네저 하워드가 제창한 전원도시 구상을 바탕으로 건설한 '''다마 전원도시'''에서 유래했다. 미조노구치역 서쪽은 이 다마 전원도시의 중핵 교통기관으로 건설되었다. 다마 전원도시 지역이 뉴타운으로 발전하면서, 이 지역의 가장 주요한 교통 기관으로 기능하고 있다. 도카이도 신칸센을 제외하고 요코하마역을 경유하지 않는 요코하마 시내 주요 철도 노선 중 하나이며, 연선의 요코하마시 아오바구 등에서는 도쿄로 통근·통학하는 사람들의 비율이 요코하마 시내 다른 구에 비해 높다.[11]

아자미노역에서 연결되는 요코하마 시영 지하철 연선인 고호쿠 뉴타운의 인구 증가로 혼잡이 심해졌기 때문에, 아침 러시아워의 혼잡은 도쿄권의 대형 사철 중에서도 높다.[12]

현재의 덴엔토시선은, 순수한 통근·통학 노선으로서의 성격이 강한 다마 전원도시 지역을 주행하는 미조노구치역 서쪽 구간과, 한때 신타마가와선이라고 불렸던 시부야역에서 후타코타마가와역까지의 지하 구간, 그리고 양 구간보다 이전부터 있던 후타코타마가와역에서 미조노구치역까지의 구간이 일체가 되어 형성되어 있다.

2. 1. 다마가와 전기철도 시대와 미조노구치선 개업

1907년 3월 6일, 다마가와 전기철도(다마덴)가 시부야와 현재의 후타코타마가와 사이에 1372mm 궤간의 근교철도 노선(다마가와선)의 첫 구간을 개통했다.[3] 산겐자야 역에서 분기되는 지선은 1925년 1월 18일에 개통되었다.

1927년 7월 15일, 다마가와 전기철도의 미조노구치선(궤도)으로 후타코타마가와-미조노구치 간이 개업했다.[15] 1938년, 다마가와 전기철도는 (구) 도쿄요코하마 전철에 매수, 합병되었고, 1939년에는 (구) 도쿄요코하마 전철이 메구로카마타 전철에 흡수 합병되었다. 1942년, 메구로카마타 전철은 (신) 도쿄요코하마 전철로 개칭된 후, 오다큐 전철게이힌 급행 전철을 합병하여 도쿄 급행 전철(다이토큐)이 되었다.

2. 2. 오이마치선 편입 및 덴엔토시선으로 명칭 변경

1943년 7월 1일, 육군 요청에 따라 미조노구치선이 오이마치선에 편입되었고, 궤간(열차 선로 폭)이 1372mm에서 1067mm로 변경되었다.[19] 1945년 10월 1일, 후타코타마가와-미조노구치 간이 궤도에서 지방철도법에 따른 철도로 전환되었다.

1953년, 도큐 그룹 회장 고토 케이타는 "남서 지역 개발 계획"이라는 신도시 계획을 발표했다. 그는 도쿄 통근자들을 위한 새로운 철도 노선, 고속도로, 크고 깨끗한 주택을 구상했다.[4]

1963년 10월 11일, 오이마치선이 '''덴엔토시선'''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2. 3. 덴엔토시선 노선 연장

田園都市線|덴엔토시선일본어 미조노구치-나가쓰타 간이 1966년 4월 1일에 연장 개통되었다.[20] 이 구간은 다마 전원도시 접근 노선으로 건설되었다. 이후 연장된 구간은 다음과 같다.

  • 1968년 4월 1일: 나가쓰타-쓰쿠시노 간 개통.[17]
  • 1972년 4월 1일: 쓰쿠시노-스즈카케다이 간 개통.
  • 1976년 10월 15일: 스즈카케다이-쓰키미노 간 개통.
  • 1984년 4월 9일: 쓰키미노-주오린칸 간 개통으로 전 구간 개통.[18]


개통 초기에는 4량 편성 열차가 운행되었으나, 낮 시간에는 사기누마 역에서 열차를 나누고 합치는 작업이 이루어져 사기누마-나가쓰타 간은 2량 편성으로 운행되었다. 그러나 지역 개발이 빠르게 진행되면서 이러한 운행 방식은 단기간에 중단되었다.

나가쓰타 서쪽 구간은 처음부터 주오린칸을 종착역으로 계획했으나, 오다큐 측에서 이의를 제기하여 쓰루마 이남으로 종착역을 변경할 것을 도큐 측에 요구하기도 했다.[21]

2. 4. 신타마가와선 건설

1977년 4월 7일, 시부야 - 후타코타마가와(당시 후타고타마가와엔) 구간이 '''신타마가와선'''으로 개통되었다.[24] 이는 1969년 5월 11일에 폐지된 타마가와선을 계승하는 노선이다. 시부야 - 고마자와다이가쿠 구간은 국도 246호선에 수도고속 3호 시부야선과 일체적으로 건설되었다.

당초 이 노선은 긴자선을 시부야에서 후타고타마가와엔까지 연장하는 형태로 계획되었으나,[25] 이후 도쿄 11호선(한조몬선)의 일부로 변경되어 건설되었다. 막대한 자금이 필요한 공사였기 때문에, 당시 도큐 사장 고토 노보루의 정계 활동으로 철도공단(현 철도·운수기구)의 "P선 방식"을 처음으로 활용했다.

신타마가와선 건설 계획 당시, 처음에는 현재의 국도 246호선보다 남쪽 루트가 구상되었으나, 이미 용지 매수가 어려웠다.[26] 그래서 산겐차야 - 요가 구간에서 헤비무시가와 위를 고가로 달리고, 겐마키를 경유하는 루트가 계획되었다. 그러나 연선 주민들의 전선 지하화 요구가 강했고,[27] 결과적으로 전 구간이 구 다마가와선 지하를 달리게 되었다. 따라서 신타마가와선 구간은 다마가와도오리와 루트가 일치하지 않고, 다마가와도오리 구도를 따라간다.[28]

2. 5. 신타마가와선 편입 및 현재

2000년, 도큐 타마가와선을 계승하여 건설된 도큐 최초의 지하 노선인 신타마가와선과 후타코타마가와역 서쪽의 오이마치선 구간이 통합되면서 오늘날의 다마덴엔토시선이 개통되었다. 1977년부터 2000년까지 시부야역에서 후타코타마가와역까지의 지하 구간은 '''신타마가와선'''으로 불렸다.

2003년 3월 19일, 한조몬선과의 직결 운행이 스이텐구마에역을 넘어 이세사키선닛코선까지 연장되었다.[4]

도큐는 후타코타마가와역에서 미조노쿠치역까지 선로를 복복선으로 확장하였다. 오이마치선 열차 대부분은 이 구간을 경유하여 미조노쿠치역까지 운행하며, 일부는 중간역에 정차하는 완행 열차로 운행한다. 이 서비스는 2009년 6월에 시작되었다.[5]

한조몬선까지 직결 운행되는 덴엔토시선의 거의 모든 열차는 도큐, 도쿄 메트로, 도부 철도의 10량 편성 전동차를 사용한다. 그 중 절반 정도는 한조몬선 종착역인 오시아게역을 지나 도부 스카이트리선(기타코시가야역, 기타카스카베역, 도부 동물공원역), 도부 이세사키선(구키역), 도부 닛코선(미나미쿠리하시역)까지 운행된다.[6] 러시아워에는 시내 방향 열차가 2분 10초 간격으로 운행된다.

시부야역을 기점으로 도쿄 부도심에서 교외의 주택 지역을 거쳐 주오린칸역까지 이르는 통근·통학 노선이며, 도요코선과 함께 도큐 전철의 간선 노선이다. 한조몬선을 경유하여 도부 이세사키선(도부 스카이트리 라인)·닛코선과 상호 직통 운전을 하고 있으며, 특히 한조몬선과는 거의 일체적으로 운행되고 있다. 또한, 후타코타마가와역·미조노쿠치역에서 오이마치선으로의 직통 열차도 운행하고 있다.

아자미노역에서 연결되는 요코하마 시영 지하철 연선인 고호쿠 뉴타운의 인구 증가로 혼잡이 심해졌기 때문에, 아침 러시아워의 혼잡은 도쿄권의 대형 사철 중에서도 높다.[12]

3. 연선 풍경

도큐 덴엔토시선 연선은 크게 세 지역으로 나눌 수 있다.


  • 시부야 - 후타코타마가와 간: 무사시노 대지 지하를 통과하며, 과거 신타마가와선으로 불렸다. 시부야역에서 국도 246호선과 수도고속 3호 시부야선 바로 아래를 지나며, 산겐자야역에서는 도큐 세타가야선과 연결된다. 사쿠라신마치역 부근은 상하 2단 구조로, 급행열차는 통과선을 주행한다. 요가역을 지나 고분지 벼랑을 출구로 하여 지상으로 나온 후, 도큐 오이마치선을 지나 니코타마가와역으로 진입한다.
  • 후타코타마가와 - 미조노구치 간: 다마가와를 건너 가나가와현 가와사키시 다카쓰구로 진입, JR 난부선과 환승역인 미조노구치역(JR 측은 무사시미조노구치역)까지 다마가와 범람원을 오이마치선과 병행하며 고가로 지난다.
  • 미조노구치 - 주오린칸 간: 다마 구릉과 사가미하라 대지를 통과하며, 주택가, 공원, 녹지가 어우러진 풍경이 나타난다. 미조노구치역 남쪽에서 시작되는 터널을 지나면, 다마 구릉을 관통하는 구간이 이어진다. 이 구간은 곡선, 터널, 절개지, 고가도로가 연속적으로 나타나며, 열차는 지표면을 따라 직선으로 달리는 구간이 거의 없다. 나가쓰다역까지는 '다마 전원도시 철도선'으로 신규 개업한 구간이며, 이후 주오린칸역까지 점차 연장되었다. 미나미마치다 그랑베리 파크역 인근에는 미나미마치다 그랑베리 파크와 스누피 뮤지엄이 있다. 쓰쿠시노역(1968년), 스즈카케다이역(1972년), 쓰키미노역(1976년)과 같이 서쪽으로 노선이 점차 연장되어, 1984년 4월 9일에 주오린칸역까지 전 구간이 개업했다.

3. 1. 시부야 - 후타코타마가와 간

무사시노 대지 지하를 통과하는 구간으로, 과거에는 신타마가와선으로 불렸다. 시부야역(도쿄도 시부야구)에서 국도 246호선(다마가와도리)과 수도고속 3호선 바로 아래를 지나며, 산겐자야역에서는 세타가야선이 연결된다.[13] 사쿠라신마치역 부근은 상하 2단 구조로, 급행열차는 통과선을 주행한다.[13] 요가역을 지나 고분지 벼랑을 출구로 하여 지상으로 나온 후, 오이마치선을 지나 니코타마가와역으로 진입한다.[13]

3. 2. 후타코타마가와 - 미조노구치 간

다마가와의 교량 (니코타마가와 - 니코신치 간)


니코타마가와역 플랫폼은 남쪽(선두 차량 쪽)에서 다마가와 교량 위에 걸쳐 있으며, 예전에는 겸용궤도교였던 니코바시를 오른쪽(서쪽)에서 보면서 다마가와를 건넌다.[15] 오이마치선에서 온 연결선이 합류하는 지점 부근에서 가나가와현 가와사키시 다카쓰구로 들어가고, 건넌 바로 앞에 후타코신치역이 있다. 여기서 다카쓰역을 거쳐 JR 난부선과 환승역인 미조노구치역(JR 측은 무사시미조노구치역)까지는 다마가와 범람원을 오이마치선과 병행하며 고가로 진행한다. 이 구간 양쪽은 니코(가와사키시)에서 미조노구치(가와사키시)에 이르기까지 비교적 오래된 주택가를 관통하고 있다.

이 구간은 1927년(쇼와 2년) 다마가와 전기철도 미조노구치선(궤도선)으로 개업했으며, 이후 다마가와선, 오이마치선, 덴엔토시선으로 개칭·재편되고, 도큐 오이마치선 연장 등을 거쳤다. 이 기간 동안 고가화(1966년)·복복선화(2009년 완성) 등이 시행되었지만, 궤도 부지(미조노구치역 부근 제외)와 중간역은 개업 당시부터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3. 3. 미조노구치 - 나가쓰타 간

미조노구치역 남쪽에서 시작되는 터널을 지나면, 다마 구릉을 관통하는 구간이 이어진다. 이 구간은 곡선, 터널, 절개지, 고가도로가 연속적으로 나타나며, 열차는 지표면을 따라 직선으로 달리는 구간이 거의 없다. 차창 밖으로는 언덕마다 주택이 들어선 모습이 보이지만, 공원가로수가 많아 주택 수에 비해 녹지가 풍부하게 느껴진다.

짧은 터널을 지나면 2면 4선 구조의 가지가야역에 도착한다. 역 주변은 탁 트여 있으며, 근처에 가지가야 차량기지가 있다. 짧은 터널을 지나 국도 246호선을 넘으면 가와사키시 미야마에구에 진입한다. 고가선으로 올라가 전차와 버스의 박물관에서 가까운 미야자키다이역을 지나, 도랑 구간으로 들어가 오른쪽으로 꺾어 내려가면 미야마에히라역에 이른다. 역을 나서자마자 시르데쿠로카와 도로를 넘어 오르막길로 바뀌고, 오르막길이 끝나는 지점에 2면 4선 구조의 사기누마역이 있다. 사기누마역에서는 상하행선 모두 완급 접속이 이루어진다.

사기누마역 북동쪽에는 도쿄 메트로 사기누마 차량기지가 있다. 사기누마역과 다마플라자역 사이의 작은 터널을 지나면 가와사키시 미야마에구에서 요코하마시 아오바구로 넘어간다. 터널 바로 앞에서 도메이 고속도로가 덴엔토시선 위를 지난다. 수도고속 3호 시부야선과 연결되는 도메이 고속도로는 덴엔토시선 연선을 따라 건설되었다. 요코하마시의 고급 주택가인 우쓰쿠시가오카에 인접한 다마플라자역은 대형 상업시설(다마플라자 테라스)과 도큐 백화점을 갖추고 있다. 하야부치가와 계곡 지형을 따라 내려가 가나가와현도 13호선과 하야부치가와 강을 건너면 요코하마 시영 지하철 블루라인과 환승할 수 있는 아자미노역에 도착한다. 절개 구간을 지나 오르막길로 올라가면 상하행선 모두 통과 전용선을 갖춘 2면 4선 구조의 에다역이 나온다. 역 출입구 바로 앞을 국도 246호선이 가로지르는 형태로 고속도로가 지나간다.

이치가오역 앞 터널까지는 왼쪽에 국도 246호선이 나란히 이어진다. 이치가오역후지가오카역 사이에는 수도고속 가나가와 7호 요코하마 북서선과 국도 246호선을 연결하는 요코하마 아오바 IC/출입구의 램프웨이가 덴엔토시선 위를 가로질러 건설되어 있다. 이 부근은 전원 지대로 한가로운 풍경이 펼쳐진다. 곡선 중간에 성토에서 고가로 바뀌고, 그 너머 오르막길에서 절개 구조로 바뀐다. 상행선만 통과선을 갖춘 후지가오카역을 지나 다시 절개 구간으로 들어가 국도 246호선과 터널로 교차하면 급행 정차역인 아오바다이역에 도착한다.

아오바다이역을 출발하면 완만한 왼쪽 곡선이 시작된다. 이 부근은 기복이 심하지만, 선로의 경사는 완만하다. 곡선이 끝나는 부근에서 터널을 빠져나오면 다나역에 도착한다. 아담한 역사이며, 역 주변에는 도큐 스토어 정도만 있고, 주변은 한가로운 전원 지대이다. 다나역 바로 앞에서 쓰루미가와 수계의 온다가와를 건너 요코하마시 미도리구에 들어선다. 주변은 평탄해지고, 주막마을로서 옛 거리 풍경도 남아 있는 나가쓰다 지역에 들어선다. 왼쪽에 JR 요코하마선이 가까워지면 나가쓰다역에 도착한다. 나가쓰다역에서는 오른쪽으로 고도모노쿠니선(도큐가 요코하마 고속철도로부터 운영을 수탁, 노선 내에는 도큐 및 요코하마 고속철도의 차량 정비 등을 실시하는 나가쓰다 차량공장이 있다)이 분리된다. 다나역과 나가쓰다역의 역세권은 도큐의 '다마 전원도시' 지역이 아니기 때문에 도큐에 의한 개발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이 두 역 사이의 연선 풍경은 덴엔토시선 연선 풍경으로서는 이질적이다.

미조노구치역에서 나가쓰다역까지의 구간은 1966년에 '다마 전원도시 철도선'으로 신규 개업한 1기 구간이다.[20]

3. 4. 나가쓰타 - 주오린칸 간

사가미하라 대지를 고가선과 터널을 통해 통과하는 구간이다. 요코하마시에서 도쿄도 마치다시로 넘어가면 쓰쿠시노역에 도착한다. 여기서부터 미나미마치다 그랑베리 파크역 직전까지 국도 246호선(오야마가도)과 거의 평행하게 달린다.[16] 비교적 고지대에 위치한 조용한 주택가를 통과하며, 야나기도리를 지나 짧은 터널을 빠져나오면 완만한 오른쪽 곡선을 그리며 스즈카케다이역에 도착한다. 급행열차는 거의 최고 속도로 통과한다. 역 바로 옆으로 도현 경계가 지나가고, 국도 246호선은 바로 근처를 지난다. 마치다시 쪽은 주택과 아파트가 늘어서 있지만, 국도 246호선을 사이에 둔 요코하마시 쪽은 도쿄 과학대학 스즈카케다이 캠퍼스와 어드벤처 시설 정도가 있고, 나머지는 녹지대이다. 도도 141호선(마치다가도), 국도 16호선(야마토 바이패스) 아래를 차례로 지나면 미나미마치다 그랑베리 파크역에 도착한다. 역 앞의 영화관을 갖춘 미나미마치다 그랑베리 파크는 아웃도어 용품점이 많다. 또한, 스누피 뮤지엄도 가장 가깝다.[16]

같은 역과 쓰키미노역 사이에 있는 경천에서 가나가와현 야마토시에 들어선다. 쓰키미노역을 나와 주택가를 지나면 곧 지하선으로 들어가 종점인 주오린칸역에 도착한다. 주오린칸역오다큐 에노시마선과 연결된다.[16]

나가쓰타역까지는 1966년에 개통되었지만, 그 이후로 쓰쿠시노역(1968년)[17], 스즈카케다이역(1972년), 쓰키미노역(1976년)과 같이 서쪽으로 노선이 점차 연장되어, 1984년 4월 9일에 주오린칸역까지 전 구간이 개업했다.[18]

4. 운행 형태

도부선으로 직통하지 않는 오시아게(押上) 발착 급행에는 도부선 진입 불가능을 나타내는 K 마크가 부착된 차량이 투입되기도 한다. 사진은 8590계에 의한 급행


도큐 덴엔토시선에는 급행, 준급, 각역정차의 3종류 열차가 운행된다. 시부야역을 경유하여 한조몬선도부선(도부 이세사키선·도부 스카이트리 라인·이세사키선 구키역·도부닛코선 미나미쿠리하시역까지)과 상호 직통 운행을 실시하고 있다.[6] 시부야역 발착 열차는 일부이며, 대부분 한조몬선으로 직통한다. 직통 열차는 한조몬선 내에서는 모든 역에 정차하며, 도부선 내에서는 기본적으로 급행으로 운행되지만, 아침 저녁에는 준급으로 운행되는 열차도 있다.

  • 급행(急行, Express): 종별 표시는 적색이다. 첫차·막차 부근과 평일 아침 러시아워 시간대 이외의 시간대에 운행된다. 도부선·한조몬선 - 주오린칸역 간 운행을 기본으로 하지만, 나가쓰타역 발착 열차도 있다. 낮 시간대에는 20분 간격(매시 3편)으로 운행되며, 상행은 도부선 구키행, 하행은 모두 한조몬선 오시아게역 발이다. 낮 시간대를 중심으로 주오린칸역에서 오이마치선으로 직통하는 열차가 매시 3편 운행된다.

  • 준급(準急, Semi-Express): 종별 표시는 녹색이다. 급행 정차역에 더하여, 시부야역~후타고타마가와역 간과 나가쓰다역~주오린칸역 간의 각 역에 정차한다. 평일 아침 러시아워 시간대에는 준급만 운행된다. 낮 시간대에는 급행을 보완하는 형태로 20분 간격(매시 3편, 오시아게행)으로 운행된다.

  • 각역정차(各駅停車, Local): 종별 표시는 파란색이다. 차량 측 표시는 기본적으로 '각정(各停)'이지만, 반자몬선 내에서는 '각역정차(各駅停車)'로 표시된다(풀컬러 LED 안내 표시기 탑재 차량 한정). 낮 시간대에는 매시 6회 운행된다(상행: 주오린칸역 - 오시아게역 3회, 주오린칸역 - 미나미쿠리하시역 3회, 하행: 구키역 - 주오린칸역 3회, 미나미쿠리하시역 - 주오린칸역 3회).

4. 1. 운행 시격

(2022년 3월 13일 이후)역명

종별반자몬선도부 이세사키선 직통시부야…후타고타마가와…나가쓰타…주오린칸편수급행구키(하행은 오시아게)←3편오이마치←3편준급오시아게←3편각역정차미나미쿠리하시←3편오시아게(하행은 구키)←3편



도부선・반자몬선 - 주오린칸 간 운행 급행・준급・오이마치선 직통 급행은 각각 20분 간격으로 운행된다.

낮 시간대 급행은 사쿠라신마치역에서 각역정차를 추월하며, 하행은 후타고타마가와역, 상행은 산겐자야역(모두 추월한 열차), 그리고 상하행 모두 사기누마역나가쓰타역에서 각역정차와 연결된다. 준급은 가지가야역에다역에서 각역정차를 추월하며, 하행은 사기누마역아오바다이역, 상행은 미조노구치역・아자미노역(모두 추월한 열차)에서 각역정차와 접속한다.

낮 시간대 반자몬선 직통 열차(매시 12편)에 대해서는, 절반이 오시아게역 발착, 절반이 도부 스카이트리 라인 직통 열차가 되어 있으며, 이 중 도부 직통 열차는 이세사키선 구키역 발착과 닛코선 미나미쿠리하시역 발착이 반반의 비율로 운행된다.

4. 2. 시부야역 발착 열차

도큐 덴엔토시선의 시발역인 시부야역에는 입환선이 없기 때문에, 높은 열차 밀도와 맞물려 회차 운행이 어렵고, 대부분의 열차는 한조몬선과 직통 운행하고 있다.[37][38]

시부야역의 회차 시설은 개업 당시부터 오모테산도역 쪽에 양단선만 있었지만, 2008년 가을에 이케지리오하시역 쪽에 편단선이 신설되어, 오모테산도역 쪽으로 열차를 입환하지 않고 시부야역 승강장에서 시발 열차를 운전할 수 있게 되었다. 단, 이 양단선을 사용하는 시부야역 시발 열차는 상행선 승강장인 2번선에서 출발하는 형태가 된다.

2009년 6월 6일 다이어 개정에서 이 새로운 양단선을 이용하여, 그때까지 심야 시간대에 아주 일부 열차만이었던 시부야역 발착 각역정차를 조조·심야 시간대에 증편하였다. 2012년 3월 17일 다이어 개정에서는 혼잡 완화를 위해, 토요일·휴일 저녁에 시부야역 시발 하행 급행이 2편 신설되었다. 이 열차는 도큐 측에서 회송되어 2번선에서 출발하고, 한조몬선으로부터의 각역정차(1번선 도착)와 접속한 후에 선발한다.

준급 열차가 신설되고 다엔도시선 내 증편이 이루어진 2014년 6월 21일 다이어 개정에서는, 한조몬선 내 증편이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낮 시간대에 시부야역 발착 각역정차가 매시 2편 설정되었다. 이 열차는 한조몬선의 한조몬역까지 회송하여 동역의 입환선에서 회차하고 있다. 그러나, 2021년 3월 13일 다이어 개정으로 낮 시간대의 시부야역 발착 열차가 폐지되었기 때문에, 시부야역 발착 열차는 다시 조조·심야·토요일·휴일 저녁의 급행만이 되었다.

한편, 평일 저녁 러시아워는 열차 밀도가 높고, 현재도 모든 열차가 한조몬선 직통으로 운행되고 있다. 이 때문에, 시부야역으로부터의 하행 열차는 한조몬선 내에서 혼잡한 상태로 도착하는 상황이다.

4. 3. 폐지된 종별

1968년 10월 1일부터 1996년 4월 25일까지 운행되었던 급행 열차이다. 오이마치역 발착의 "통근 쾌속"과 시부야역·한조몬선 내 발착의 "쾌속"이 있었다. 표시상으로는 모두 "쾌속"이었으며, 여기서는 모두 같은 쾌속으로 취급한다.[30]

1968년 설정 당시에는 아침 출퇴근 시간대에 "통근 쾌속"이라는 이름으로 오이마치행 쾌속이 운행되었다(상행 열차만, 후타코타마가와역 - 오이마치역 간은 각역 정차). 1977년 11월 16일부터 낮 시간대에 "쇼핑 쾌속"이라는 이름으로 신타마가와선 직통 쾌속 운행이 시작되었다. 1979년 8월 12일에 오이마치선 분리가 이루어지면서 오이마치행 쾌속 운행을 종료하고 종일 신타마가와선 직통 쾌속이 운행되게 되었다. 1983년 1월 22일부터 아침 저녁 출퇴근 시간대에 급행이 신설되어 쾌속과 함께 운행되었다.[41] 1989년 1월 26일 한조몬선·한조몬역 - 미쓰코시마에역 간 연장 개통으로 평일 아침·저녁 출퇴근 시간대 및 토요일 아침 출퇴근 시간대의 쾌속을, 1996년 4월 26일 개정으로 남은 모든 쾌속을 각각 급행으로 이관하여 쾌속 운행은 종료되었다.

'''정차역'''

5. 열차 종별

도큐 덴엔토시선에는 다음과 같은 세 종류의 열차가 운행된다.[6]

; '''각역정차(各駅停車)''' (L)

: 모든 역에 정차한다. 낮 시간대에는 매시간 6회 운행된다. 중간역에서 급행·준급과 접속한다.

; '''준급(準急)''' (SE)

: 급행 정차역에 더하여, 시부야역-니코타마가와역 간과 나가쓰다역-주오린칸역 간의 각 역에 정차한다. 평일 아침 러시아워 시간대의 쾌속 열차는 준급뿐이다. 낮 시간대에는 급행을 보완하는 형태로 20분 간격으로 운행된다.

; '''급행(急行)''' (Ex)

: 첫차·막차 근처와 평일 아침 러시아워 시간대 이외의 시간대에 설정되어 있다. 도부선·한조몬선-주오린칸역 간 운행을 기본으로 하지만, 나가쓰다역 발착 열차도 설정되어 있다. 낮 시간대에는 매시 3편(20분 간격) 운행된다.

정기 운행하는 특급 열차는 설정된 적이 없다.

6. 오이마치선 직통 열차

후타코타마가와역을 경유하여 일부 열차가 오이마치선과 직통 운행을 하고 있다. 직통 열차는 양선이 병행하는 후타코타마가와역 - 미조노구치역 구간에서는 덴엔토시선의 선로를 주행한다.

오이마치선용 차량으로 운행되지만, 9000계·9020계에는 덴엔토시선 내에서의 잘못된 승차를 방지하기 위해 선두차 전면의 띠를 적색과 황색의 그라데이션으로 하고, 선두차 전면 하부와 측면 창문 사이에 "오이마치선"을 나타내는 스티커가 부착되어 있다.

7. 임시 열차

도큐 덴엔토시선은 매년 8월 셋째 토요일[93]에 세타가야구 다마가와 불꽃놀이 대회・가와사키시 제정 기념 다마가와 불꽃놀이 대회가 개최되면, 가장 가까운 역인 후타코타마가와역·후타코신치역으로의 접근을 위해 저녁부터 심야까지 임시 운행 계획으로 운행된다. 이 경우, 16시부터 23시경까지 모든 열차가 각역정차가 되며, 시부야역 발 하행 열차와 후타코타마가와역·시부야역 종착의 상행 열차가 증편된다. 또한, 저녁의 오이마치선 직통 열차는 운휴된다. 단, 불꽃놀이 대회가 중지되는 경우에는 저녁 이후에도 평상시 운행 계획으로 운행되는 경우도 있다.

고다마선이 개통된 후 한동안 행락철에 고다마국행 직통 쾌속을 운행하는 등 고도모노쿠니와 관련된 임시열차를 자주 운행했다.



헤이세이 시대에 들어와서는 행락 목적의 임시열차 운행은 거의 없어졌으나, 2002년 말 이후 그 양상이 변화했다. 도쿄 린카이 고속철도 린카이선 개업 시나 도부선과의 직통 운전을 개시했을 때 임시열차가 설정된 이후, 불규칙적이지만 연 1~3회 정도 운행되고 있다. 최근에는 도심에서의 불꽃놀이 대회와 관련된 반자몬선 내 정차 열차와, 도부선 내 관광지에 대한 캠페인과 관련된 도부선까지 직통하는 열차의 두 종류로 크게 나눌 수 있다. 다엔토시선의 차량은 모두 롱시트의 자유석이며, 크로스시트는 설치되어 있지 않고, 지정석도 설정되어 있지 않다(안내 방송에서도 그 취지를 안내한다).

최근 운행된 임시열차는 다음과 같다.

8. 역 목록

거리누적
거리소재지DT 01시부야渋谷일본어●●東急東横線|도큐 도요코 선일본어 (TY 01)
山手線|야마노테 선일본어 (JY 20)
埼京線|사이쿄 선일본어 (JA 10)
湘南新宿ライン|쇼난 신주쿠 라인일본어 (JS 19)
東京メトロ銀座線|도쿄 지하철 긴자 선일본어 (G-01)
東京メトロ半蔵門線|도쿄 지하철 한조몬 선일본어 (Z-01, 직결 운행)
東京メトロ副都心線|도쿄 지하철 후쿠토신 선일본어 (F-16)
京王井の頭線|게이오 이노카시라 선일본어 (IN 01)0.0도쿄도시부야구DT 02이케지리오하시
(도호대학의료센터 오하시병원 앞)池尻大橋
(東邦大学医療センター大橋病院前)일본어●│1.91.9세타가야구DT 03산겐자야
(쇼와여자대학 앞)三軒茶屋
(昭和女子大学前)일본어●●東急世田谷線|도큐 세타가야 선일본어 (SG 01)1.43.3DT 04고마자와다이가쿠駒沢大学일본어●│rowspan="3" |1.54.8DT 05사쿠라신마치
(하세가와 마치코 미술관 앞)桜新町
(長谷川町子美術館前)일본어●│1.56.3DT 06요가
(세타가야 비즈니스 스퀘어 앞)用賀
(世田谷ビジネススクエア前)일본어●│1.37.6DT 07후타코타마가와二子玉川일본어●●東急大井町線|도큐 오이마치 선일본어 (OM 15, 공용)1.89.4DT 08후타코신치二子新地일본어││rowspan="2" |0.710.1가나가와현가와사키시다카쓰구DT 09다카쓰
(데이쿄대학 미조노쿠치병원 앞)高津
(帝京大学溝口病院前)일본어││0.610.7DT 10미조노쿠치溝の口일본어●●東急大井町線|도큐 오이마치 선일본어 (OM 16, 공용)
南武線|난부 선일본어 (무사시미조노쿠치역, JN 10)0.711.4DT 11가지가야梶が谷일본어││rowspan="5" |0.812.2DT 12미야자키다이
(전철과 버스 박물관)宮崎台
(電車とバスの博物館)일본어││1.513.7미야마에구DT 13미야마에다이라宮前平일본어││1.014.7DT 14사기누마鷺沼일본어●●1.015.7DT 15다마 플라자たまプラーザ일본어●●1.417.1요코하마시아오바구DT 16아자미노あざみ野일본어●●横浜市営地下鉄ブルーライン|요코하마 시영 지하철 블루 라인일본어 (B 32)1.118.2DT 17에다江田일본어││rowspan="5" |1.119.3DT 18이치가오市が尾일본어││1.320.6DT 19후지가오카
(쇼와대학 후지가오카 병원 앞)藤が丘
(昭和大学藤が丘病院前)일본어││1.522.1DT 20아오바다이青葉台일본어●●1.023.1DT 21다나田奈일본어││1.424.5DT 22나가쓰타長津田일본어●●東急こどもの国線|도큐 고도모노쿠니 선일본어 (KD 01)
横浜線|요코하마 선일본어 (JH 21)1.125.6미도리구DT 23쓰쿠시노つくし野일본어●│rowspan="4" |1.226.8도쿄도 마치다시DT 24스즈카케다이すずかけ台일본어●│1.228.0DT 25미나미마치다 그랑베리 파크南町田グランベリーパーク일본어●●1.229.2DT 26쓰키미노つきみ野일본어●│1.130.3가나가와현 야마토시DT 27주오린칸中央林間일본어●●小田急江ノ島線|오다큐 에노시마 선일본어 (OE 02)1.231.5



시부야역에서 한조몬 선 및 덴엔토시 선과 긴자 선을 서로 환승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개찰구 밖으로 나가야 한다. 이때는 환승을 위해 다른 색(보통 오렌지색)으로 구분된 개찰구를 이용해야 한다. 한조몬 선 ↔ 긴자 선의 환승은 공식적으로 오모테산도 역으로 안내된다.

8. 1. 구 신타마가와선의 역 색상

이케지리오하시 - 요가 구간(옛 신타마가와선)의 각 역은 지하역이며, 역마다 고유한 색상(역 색상)이 지정되어 있다.[99]

각 역의 벽면은 흰색과 역 색상이 번갈아 나타나는데, 계단 쪽은 역 색상의 비율이 높고, 멀어질수록 흰색 비율이 높아진다. 이는 승객이 각 역에서 가까운 계단을 이용할 때 이동 방향을 쉽게 알 수 있도록 돕기 위한 것이다.

역 색상은 "지하역 특성상 승객이 주변 풍경으로 역을 구분하기 어려우므로, 벽면 색깔만으로 어느 역인지 즉시 알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설정되었다.[99]

9. 사용 차량

덴엔토시선은 10량 편성 열차가 기본으로 운행되며, 오이마치선 직통 열차는 예외적으로 5량(각역정차) 또는 7량(급행) 편성으로 운행된다.

2005년부터 2017년까지는 혼잡 완화를 위해 일부 5000계 차량에 6개의 출입문과 접이식 좌석을 갖춘 '6도어 차량'이 도입되었다. 이 차량은 특히 혼잡한 시간대에 시부야역의 승하차 시간을 단축하고 승객 공간을 확보하는 데 기여했다.[107][108] 그러나 홈도어 설치 문제로 2017년에 6도어 차량은 모두 일반적인 4도어 차량으로 교체되었다.[111][112][113]

덴엔토시선에서 사용되는 차량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아래 하위 섹션을 참조하면 된다.

9. 1. 자사 차량

덴엔토시선에서 운행되는 차량은 모두 나가쓰다 검차구 소속이다. 덴엔토시선용 차량은 10량 편성으로 운행되며, 지하 구간에서의 비상시 경사 상승 조건 등을 고려하여 출발 가속도 3.3km/h/s, 최대 감속도(일반) 3.5km/h/s(비상 4.5km/h/s)를 충족한다. 설계 최고 속도는 도쿄 메트로 8000계가 100km/h, 그 외 차량은 120km/h이다.

차량 목록은 다음과 같다.

2020계


5000계


신차 반입이나 나가쓰다 차량기지 입·출고 열차로서, 도요코선이나 메구로선, 이케가미선, 도큐 다마가와선, 미나토미라이선용 차량도 회송이나 시운전으로 덴엔토시선을 주행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도쿄 메트로 사기누마 공장으로의 회송 열차로서 히비야선 차량도 덴엔토시선을 주행한다.

9. 1. 1. 오이마치선 직통용

6020계


6000계


9000계


전 차량이 나가쓰다 검차구 소속이다.[103][104][105]

9. 2. 직결 운행 차량

도쿄 메트로 한조몬 선과 도부 철도 노선에 직결 운행되는 차량은 다음과 같다.[6]

차량 종류차량 이미지
도쿄 메트로 8000계--
도쿄 메트로 08계
도쿄 메트로 08계
도쿄 메트로 18000계--
도부 철도 30000계--
도부 철도 50050계--



이들 차량은 모두 10량 편성으로 운행되며, 도쿄 메트로 한조몬 선을 거쳐 도부 스카이트리 선, 도부 이세사키 선, 도부닛코 선까지 운행된다.[6]

9. 3. 과거 사용 차량



5000계 (초대)


6000계 (초대)


7000계 (초대)


8590계


8500계

참조

[1] 웹사이트 2018 boardings and deboardings Tokyu Corporation https://www.tokyu.co[...] 2019-05-09
[2] 웹사이트 各駅・沿線情報 https://www.tokyu.co[...] 2020-03-18
[3] 웹사이트 写真・図版(6枚目) いまとはまるで違う56年前の「二子玉川」 世田谷南西部を支えた路面電車「玉電」と「砧線」〈AERA〉 https://dot.asahi.co[...] 2020-04-11
[4] 웹사이트 年譜 |東急電鉄 https://www.tokyu.co[...] 2020-03-18
[5] 웹사이트 3月28日 大井町線の急行運転を開始。田園都市線の混雑緩和をめざします。 http://www.tokyu.co.[...] 2022-08-06
[6] 웹사이트 Den-en-toshi Line Chuo-Rinkan Timetable Tokyu Corporation http://transfer.navi[...] 2020-03-18
[7] 일반
[8] 뉴스 東急田園都市線2020系、新型車両は「これまでにない新しさ」2018年春導入へ http://news.mynavi.j[...] 2017-03-17
[9] 뉴스 さようなら東急8500系! 最後の8637編成が引退 「これまでのご愛顧に感謝」 https://trafficnews.[...] 2023-01-25
[10] 일반
[11] 웹사이트 第10章 昼夜間人口比率 https://www.city.yok[...] 横浜市
[12] 웹사이트 混雑率データ(平成23年度) http://www.mlit.go.j[...] 国土交通省
[13] 일반
[14] 일반
[15] 일반
[16] 일반
[17] 뉴스 多摩-渋谷が50分 東急田園都市線 長津田-つくし野間 開通 交通協力会 1968-04-02
[18] 뉴스 東急田園都市線 つきみ野-中央林間間が開業 交通協力会 1984-04-11
[19] 뉴스 きょうから多摩川鉄道橋を使用 東急田園都市延長線 交通協力会 1966-03-19
[20] 뉴스 春雨の中を快走 東急田園都市線、きのう開通式 交通協力会 1966-04-02
[21] 웹사이트 小田急に「林間」駅なぜ多い 夢と消えた遷都構想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22] 뉴스 東急大井町線大幅に延長――小田急江の島線と相互乗り入れも 1963-05-19
[23] 간행물 東急田園都市線(大井町線)の延長について 鉄道図書刊行会 1963-12
[24] 일반
[25] 일반
[26] 웹사이트 東急田園都市線 幻の「蛇崩川ルート」とは 桜新町~用賀で「大回り」になった事情(1ページ目) https://trafficnews.[...] 乗りものニュース 2022-03-08
[27] 웹사이트 東急田園都市線 幻の「蛇崩川ルート」とは 桜新町~用賀で「大回り」になった事情(2ページ目) https://trafficnews.[...] 乗りものニュース 2022-03-08
[28] 웹사이트 東急田園都市線 幻の「蛇崩川ルート」とは 桜新町~用賀で「大回り」になった事情(3ページ目) https://trafficnews.[...] 乗りものニュース 2022-03-08
[29] 일반
[30] 간행물 新玉川線の運転計画にたずさわった時代 2004-07-10
[31] 서적 私鉄車両編成表 -都市私鉄編- '80年版 ジェー・アール・アール 1980-04-01
[32] 웹사이트 鉄軌道運賃の認可および改定のお知らせ(2005年2月22日) http://www.tokyu.co.[...]
[33] 보도자료 8月6日(日)から運行開始の目黒線と東急多摩川線のダイヤを決定 併せて東横線、池上線のダイヤも改正 https://www.tokyu.co[...] 東京急行電鉄 2000-07-14
[34] 간행물 2002年度 東急総決算 鉄道友の会 2003-11-01
[35] 보도자료 2月14日(月)から田園都市線に6ドア・座席格納車両を試験導入 朝ラッシュ時の遅延防止と混雑感の軽減を目指します https://www.tokyu.co[...] 東急急行電鉄 2005-01-31
[36] PDF 6月6日(土)、東急線でダイヤ改正を実施(2009年4月10日) http://www.tokyu.co.[...]
[37] 웹사이트 運輸政策審議会について http://www.city.kawa[...] 川崎市 2022-03-03
[38] 웹사이트 東京圏における今後の都市鉄道のあり方について(答申) https://www.mlit.go.[...] 交通政策審議会 2022-03-03
[39] 간행물 50年史
[40] 뉴스 東急の貨物運輸営業一部廃止を軽微認定 運輸審議会 交通協力会 1983-10-30
[41] 간행물 新玉川線物語
[42] 간행물 田園都市線・新玉川線・大井町線 12月4日よりダイヤを改正 http://hot.tokyu.co.[...] 東京急行電鉄 2015-01-17
[43] 보도자료 12月4日(土)から田園都市線・新玉川線を大幅ダイヤ改正 大井町線ダイヤも併せて改正 http://www.tokyu.co.[...] 東京急行電鉄 2015-01-16
[44] 간행물 2001年7月25日発生 田園都市線田奈変電所落雷事故 事故の原因および対策について http://hot.tokyu.co.[...] 東京急行電鉄 2017-01-21
[45] 간행물 2001年度 東急総決算 鉄道友の会 2003-02-01
[46] PDF 3月28日(木)に田園都市線、大井町線のダイヤを改正(2002年2月21日) http://www.tokyu.co.[...]
[47] PDF 2003年3月19日(水)に田園都市線のダイヤを改正します。2002年12月10日 http://www.tokyu.co.[...]
[48] PDF 2005年5月9日(月)から田園都市線で女性専用車両を導入します(2005年3月31日) http://www.tokyu.co.[...]
[49] PDF 2006年3月18日(土)、東横線・田園都市線・大井町線のダイヤ改正を実施(2005年12月16日) http://www.tokyu.co.[...]
[50] PDF 東急田園都市線用賀駅における列車とホームの接触について(2006年6月26日) http://www.tokyu.co.[...]
[51] PDF 田園都市線車両の車体接触痕について(2006年6月29日) http://www.tokyu.co.[...]
[52] PDF 田園都市線車両の車体接触痕に関する調査結果について(2006年7月13日) http://www.tokyu.co.[...]
[53] PDF 田園都市線の混雑緩和策を積極的に推進します(2007年1月15日) http://www.tokyu.co.[...]
[54] 간행물 渋谷駅の業務を移管しました http://hot.tokyu.co.[...] 東京急行電鉄 2017-01-23
[55] PDF 3月28日、大井町線の急行運転を開始、田園都市線の混雑緩和を目指します(2008年2月15日) http://www.tokyu.co.[...]
[56] 웹사이트 3月25日から、大井町線の夜間の運転区間を一部延長します。 http://www.tokyu.co.[...] 東京急行電鉄 2010-03-20
[57] PDF 東急線全駅で駅ナンバリングを導入します(2012年1月26日) http://www.tokyu.co.[...]
[58] 웹사이트 6月21日(土)、田園都市線、大井町線、こどもの国線でダイヤ改正を実施 http://www.tokyu.co.[...] 東京急行電鉄 2015-10-29
[59] 웹사이트 朝6時台の田園都市線臨時特急列車「時差Bizライナー」を運転し、複数企業と連携したクーポン配信で朝活を推進 http://www.tokyu.co.[...] 東京急行電鉄 2018-06-24
[60] 웹사이트 東京都の快適通勤ムーブメント「時差Biz」に連動し、田園都市線・東横線で朝6時台の臨時列車を運転、「グッチョイクーポン」第5弾を配信 http://www.tokyu.co.[...] 東京急行電鉄 2018-06-24
[61] 웹사이트 2021年3月13日(土)東急線全線でダイヤ改正を実施 https://www.tokyu.co[...] 東急電鉄 2021-01-29
[62] 뉴스 自動改札機「どんどん強まってる」、タッチする場所多過ぎ!?「ガンダムっぽい」「戦隊ロボの操縦席にありそう」東急・二子玉川駅 https://maidonanews.[...] 2023-09-27
[63] 웹사이트 都市部の路線における最混雑区間の混雑率(2021) https://www.mlit.go.[...] 国土交通省 2023-07-08
[64] 웹사이트 混雑率データ(令和元年度) https://www.mlit.go.[...] 国土交通省 2020-09-27
[65] 웹사이트 山田祥平のRe:config.sys https://pc.watch.imp[...] 2005-05-06
[66] 웹사이트 Let'snoteシリーズ新製品発表会〜耐加重量100kgを実演 https://pc.watch.imp[...] 2005-04-26
[67] 간행물 都市交通年報
[68] 웹사이트 6 過年度の線区別混雑区間朝ラッシュ時(1時間)の輸送力・輸送量・混雑率の推移 http://www.pref.kana[...] 神奈川県 2016-05-05
[69] 뉴스 朝ラッシュ時の速度、北総線が東京圏最速 遅い京王線 国交省が21路線調査 運行本数など影響 https://www.nikkei.c[...] 2016-03-05
[70] 웹사이트 初公開!首都圏鉄道「ノロノロ度」ランキング 朝のラッシュ時に最も遅いのはどの路線か https://toyokeizai.n[...]
[71] 뉴스 東急田園都市線の渋谷駅、ホーム増設へ http://www.nikkeibp.[...] 日経BP 2020-07-18
[72] 웹사이트 東急社長が語る田園都市線混雑解消の「秘策」 https://toyokeizai.n[...] 東洋経済新報社 2020-07-18
[73] 웹사이트 東急電鉄ウェブサイト内の特設ページの記述より。人口予測は国立社会保障・人口問題研究所等のものによるとされる。 http://www.tokyu.co.[...]
[74] 웹사이트 2013年に日比谷線への直通列車は廃止。新たに副都心線などと直通を開始している。
[75] 웹사이트 東急100年史 第7章 第2節 第3項 大井町線の改良・延伸による田園都市線の複々線化 その1 大井町線の改良区間を大井町駅まで延長 https://www.tokyu.co[...] 東急株式会社 2024-08-19
[76] 서적 鉄道ダイヤのつくりかた
[77] 웹사이트 同時期に東京メトロ東西線の快速運転区間である西船橋駅 - 東陽町間も、朝ラッシュ時に同区間で各駅に停車する種別への統一により平行ダイヤ化された。
[78] 웹사이트 田園都市線の準急運転「遅延を抑制する効果が表れています」 http://www.tokyu.co.[...] 2007-06-18
[79] 웹사이트 他に、全区間各駅停車化、溝の口駅 - 渋谷駅間のみ各駅停車化、急行を維持して桜新町駅待避のみ廃止、の3案。
[80] 웹사이트 2006年3月18日ダイヤ改正時に東急田園都市線直通用の種別名をそれまでの通勤準急・区間準急から急行・準急に改称している。 2006-03-18
[81] 웹사이트 東武スカイツリーラインにも2017年4月21日のダイヤ改正まで快速が存在していたが、東急田園都市線直通用の種別ではなかった。 2017-04-21
[82] 웹사이트 混雑緩和策の一環として、田園都市線「早起き応援キャンペーン」を実施 http://www.tokyu.co.[...] 東京急行電鉄 2013-02-16
[83] 웹사이트 混雑緩和策の一環として、田園都市線「早起き応援キャンペーン」を実施 特典内容を拡充して、本日から5月12日までメンバーを募集 http://www.tokyu.co.[...] 東京急行電鉄 2013-02-16
[84] 웹사이트 混雑緩和策の一環として、田園都市線「早起き応援キャンペーン」を実施サービス内容を拡充して、本日から11月10日までメンバーを募集 http://www.tokyu.co.[...] 東京急行電鉄 2013-02-16
[85] 웹사이트 サマータイムや朝型生活を応援! 第4回東急線「早起き応援キャンペーン」を路線や期間を拡大して実施 夏のお出かけを応援する、「夏のエコおでかけプロジェクト」を同時に展開 http://www.tokyu.co.[...] 東京急行電鉄 2013-02-16
[86] 웹사이트 2013年からは、年間を通じて実施!Suicaにも対応します。東急線「早起き応援キャンペーン」参加登録開始 http://www.tokyu.co.[...] 東京急行電鉄 2013-02-16
[87] 웹사이트 朝6時台の田園都市線臨時特急列車「時差Bizライナー」を運転し、複数企業と連携したクーポン配信で朝活を推進-東京都の混雑緩和プロジェクト「時差Biz」に連動した、混雑緩和策「グッチョイモーニング」を実施します- http://www.tokyu.co.[...] 東京急行電鉄 2017-06-27
[88] 보도자료 快適通勤ムーブメント「時差Biz」に合わせ 東西線・半蔵門線で臨時列車を運転します! https://www.tokyomet[...] 東京地下鉄 2017-06-29
[89] 웹사이트 (独)鉄道・運輸機構 平成15年度業務実績報告書 参考資料12 http://www.jrtt.go.j[...]
[90] 웹사이트 各駅時刻表 南町田駅 http://www.tokyu.co.[...] 2014-06-13
[91] 웹사이트 東急田園都市線・大井町線ダイヤ改正、大井町線急行が中央林間駅へ https://news.mynavi.[...] 2019-08-11
[92] 웹사이트 10月1日(火)に田園都市線、大井町線でダイヤ改正を実施 https://prtimes.jp/m[...] 2019-08-10
[93] 웹사이트 2018年は10月に開催した。 2018-10
[94] 웹사이트 平成15年3月29日(土)営団地下鉄半蔵門線、東急田園都市線、東武伊勢崎線・日光線相互直通運転開始記念「3社直通運転記念号 東武日光・鬼怒川温泉」を運転 http://www.tokyu.co.[...] 東京急行電鉄 2003-03-11
[95] 웹사이트 鉄道5社共同企画 第18回東京湾大華火祭開催に伴い直通臨時列車を運転します。 平成17年8月13日(土) http://www.tokyometr[...] 東京地下鉄 2005-07-05
[96] 웹사이트 東武伊勢崎線久喜駅にて、東急田園都市線・東京メトロ半蔵門線直通列車に接続! 「フラワーリレー号」を運転し、花の名所ヘッドマークを掲出いたします! http://www.tobu.co.j[...] 東武鉄道 2015-10-29
[97] 보도자료 東京都の「スムーズビズ」に連動し、田園都市線・東横線で朝6時台の臨時列車を運転 https://www.tokyu.co[...] 東京急行電鉄 2020-05-23
[98] 웹사이트 渋谷駅では田園都市線と銀座線を相互に乗り換えるには改札外に出ることになるため、田園都市線と銀座線の乗り換えは、直通運転先の半蔵門線と銀座線が対面乗り換えが可能な隣の表参道駅が案内されている。
[99] 서적 新玉川線建設史
[100] 웹사이트 2018年春、田園都市線に新型車両「2020系」を導入します http://www.tokyu.co.[...]
[101] 웹사이트 2016年度の鉄軌道事業設備投資計画 車両新造のほかホームドア設置、駅改良工事に総額489億円 http://www.tokyu.co.[...] 東京急行電鉄 2016-05-13
[102] 웹사이트 東急2020系が営業運転を開始 https://railf.jp/new[...] 2018-03-31
[103] 웹사이트 都心方面への輸送力を増強し混雑緩和を推進します!大井町線急行列車の7両編成化と新型車両6020系の導入 http://www.tokyu.co.[...] 東京急行電鉄 2017-10-12
[104] 웹사이트 東急6020系が営業運転を開始 https://railf.jp/new[...] 2018-03-29
[105] 웹사이트 東急2000系改め,9020系が登場 https://railf.jp/new[...] 2019-02-18
[106] 웹사이트 (お知らせ)8500系8637Fの運用離脱に伴う回送完了について https://www.tokyu.co[...] 東急電鉄 2023-01-25
[107] 웹사이트 2月14日(月)から田園都市線に6ドア・座席格納車両を試験導入 朝ラッシュ時の遅延防止と混雑感の軽減を目指します http://www.tokyu.co.[...] 東京急行電鉄 2005-01-31
[108] 웹사이트 2009年4月、田園都市線に6ドア・座席格納車両を追加導入します。 http://www.tokyu.co.[...] 東京急行電鉄 2009-03-10
[109] 웹사이트 3月28日(金)、「田園都市線 6ドア・座席格納車両」の運転時刻を変更します。 http://www.tokyu.co.[...] 東京急行電鉄
[110] 웹사이트
[111] 뉴스 2020年を目標に東横線・田園都市線・大井町線の全64駅にホームドアを設置します http://www.tokyu.co.[...] 東京急行電鉄 2015-01-09
[112] 웹사이트 田園都市線6ドア車を、順次4ドア車に置き換えて運転します http://www.tokyu.co.[...]
[112] 웹사이트 田園都市線6ドア車を、順次4ドア車に置き換えて運転します http://www.tokyu.co.[...]
[113] 간행물 鉄道ピクトリアル 電気車研究会 2017-08
[114] 간행물 常電導磁気浮上式モデル車両の浮上制御装置 https://www.hitachih[...] 日立製作所 1978-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